-프로토콜: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 둘 이상의 통신 개체 간에 교환되는 메시지 포맷, 순서뿐만 아니라 수신과 이벤트에 따른 행동들을 정의한다.
-end system(종단 시스템): 인터넷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PC, 서버,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속한다.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 웹 서버 프로그램 등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므로 호스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호스트는 다시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뉜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패킷 스위치와 통신 링크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종단 시스템이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forwarding(=switching): 전달받은 패킷을 라우터의 output link로 옮기는 것. 라우터 안에서 일어나는 local action.
routing: 출발지에서부터 도착지까지 패킷이 가는 경로를 찾는 global action.
- 패킷
-패킷이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분할되는 단위를 말한다.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패킷은 통신 링크(전송 경로)와 패킷 스위치(라우터, 링크 계층 스위치)를 거친다.
-packet swiching (패킷 교환)
패킷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store-and-forward (저장-후-전달)
패킷 스위치는 패킷을 보낼 때 한 패킷의 내용을 모두 받아야 다음 패킷 스위치로 전송할 수 있다. 출발지 혹은 이전 패킷 스위치에서 패킷의 앞부분이 전달되면, 라우터에 나머지 비트를 기다리며 잠시 저장했다가 목적지 혹은 다음 패킷 스위치로 전달한다.
이와 반대로 저장하지 않고 바로 보내는 방식을 cut-through라 한다.
-패킷 스위치는 각 링크에 대해 출력 버퍼(=출력 큐)를 보유하고 있다. 패킷 스위치가 한 링크에 대해 전송하는 도중 그 링크로 보낼 패킷이 도착하게 된다면 출력 버퍼에서 대기를 해야한다. 출력 버퍼가 유한하기 때문에 버퍼의 크기 이상으로 패킷이 도착한다면 packet loss(패킷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Reliable Data Transfer Protocol(rdt) (0) | 2024.04.12 |
---|---|
(6) DNS (0) | 2024.04.02 |
(5) E-mail (0) | 2024.03.31 |
(4) HTTP 메시지 포맷, 쿠키와 웹 캐시, HTTP/2 (0) | 2024.03.05 |
(3) TCP와 UDP, HTTP (0) |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