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4713
문제
자가용 비행기를 타고 세계 일주를 하던 pps789와 cseteram은 어느 날 엔진 고장으로 인해 이름 모를 섬에 불시착하게 된다. 그들은 이 섬을 탐험하는 도중 아주 신기한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바로 이 섬에 사는 앵무새들은 놀라울 정도로 인간의 말을 흉내 내는 데 뛰어나다는 것이다. 그들은 서로 떨어져 섬을 탐험하기로 하였으며, 필요하다면 앵무새를 이용해 서로에게 연락하기로 약속하였다.
1개월 후, pps789는 섬의 비밀을 밝힐 결정적인 증거를 찾게 된다. 그는 이 세기의 대발견을 cseteram에게 공유하고자 하였으나, 그의 발견은 방대하여 앵무새 한 마리가 기억하기에는 너무 많은 양이었다. 그렇기 에 pps789는 앵무새 한 마리 대신 앵무새 N마리를 이용하여 자신의 발견을 기록하였으며, 이 앵무새들을 cseteram을 향해 날렸다.
한편 섬의 반대편에서 탐험을 계속하던 cseteram은 앵무새 N마리가 자신에게 날아와 각자 할 말을 하는 것을 보고 당황하였다. pps789가 긴 글을 전달하고 싶었던 것은 알아차렸지만, 각각의 앵무새들이 말하는 것을 차례대로 기록하다 보니 원문이 무엇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단어의 순서가 엉켜버린 것이다. 대신 그는 관찰을 통해 몇 가지 규칙을 발견할 수 있었다.
- 한 앵무새는 한 문장을 기억하고 있다. 문장은 여러 단어로 이루어져 있는데, 앵무새는 이 단어들을 순서대로 말한다.
- 한 앵무새가 단어를 말하고 그다음 단어를 말하기 전에는 약간의 간격이 있는데, 이때 다른 앵무새가 말을 가로채고 자신의 문장을 말할 수 있다.
- 한 앵무새가 단어를 말하는 도중에는, 다른 앵무새가 말을 가로채지 않는다.
- 어떤 단어도 앵무새가 말하는 모든 문장을 통틀어 2번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앵무새는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문장을 끝까지 말한 다음 pps789에게 돌아가며, cseteram은 모든 앵무새가 돌아갈 때 까지 단어를 받아적는다. pps789가 각각의 앵무새들에게 전달한 문장 Si와, cseteram이 받아 적은 문장 L이 주어진다. 이때 문장 L이 위 규칙들을 이용하여 나올 수 있는 문장인지 판별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 앵무새의 수 N (1 ≤ N ≤ 100) 이 주어진다.
두 번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각 앵무새가 말한 문장 Si (1 ≤ i ≤ N) 가 주어지는데, 각 문장을 이루는 단어는 스페이스 한 칸을 구분으로 하여 주어진다. 문장 Si를 이루는 단어의 수는 1개 이상 100개 이하이며, 각 단어는 1개 이상 32개 이하의 영문 소문자로 구성되어있다.
N + 2 번째 줄에는 cseteram이 받아 적은 문장 L이 주어진다. 문장 L을 이루는 단어의 수는 1개 이상 10000개 이하이며, 각 단어는 1개 이상 32개 이하의 영문 소문자로 구성된다.
출력
문장 L이 가능한 문장이라면 Possible을, 불가능한 문장이라면 Impossible을 출력한다.
문제 풀이
큐를 사용하는 문제.
문장 L과 한 앵무새가 말한 문장을 이루는 단어의 순서는 같으므로, N개의 큐에 넣어놓은 후 문장 L의 단어마다 N개 큐를 돌며 큐의 front에 해당하는지 살핀 후 일치한다면 큐에서 빼내주면 된다. 그 어떤 단어도 겹치는 단어가 없음이 문제에서 제시되었으므로 큐의 front와 일치한다면 문장 L의 다음 단어를 탐색하면 된다. 한 단어에 대해 모든 큐를 탐색했는데 없다면 불가능한 문장이고, 문장 L의 끝까지 탐색했는데도 큐에 단어가 남아있다면 불가능한 문장이다.
아래는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queue>
#include <string>
#include <s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int N;
string str, L;
string token;
cin >> N;
queue<string>* q = new queue<string>[N];
bool canMake = true;
cin.ignore();
for (int i = 0; i < N; i++)
{
getline(cin, str);
stringstream ss(str);
while (ss >> token)
{
q[i].push(token);
}
}
getline(cin, L);
stringstream ss(L);
while (ss >> token)
{
int i = 0;
for (i = 0; i < N; i++)
{
if (!q[i].empty() && token == q[i].front())
{
q[i].pop();
break;
}
}
if (i == N)
{
canMake = false;
break;
}
}
for (int i = 0; i < N; i++)
{
if (!q[i].empty())
{
canMake = false;
break;
}
}
if (canMake == true)
{
cout << "Possible" << "\n";
}
else
{
cout << "Impossible" << "\n";
}
return 0;
}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900] 레슬러 (C++) (0) | 2025.02.10 |
---|---|
[백준 12761] 돌다리 (C++) (0) | 2025.02.08 |
[백준 23057] 도전 숫자왕 (C++) (0) | 2025.01.26 |
[백준 31910] 이진수 격자 (C++) (0) | 2025.01.25 |
[백준 9324] 진짜 메시지 (C++)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