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4725
문제
개미는(뚠뚠) 오늘도(뚠뚠) 열심히(뚠뚠) 일을 하네.
개미는 아무말도 하지 않지만 땀을 뻘뻘 흘리면서 매일 매일을 살길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하네.
한 치 앞도(뚠뚠) 모르는(뚠뚠) 험한 이 세상(뚠뚠) 그렇지만(뚠뚠) 오늘도 행복한 개미들!
우리의 천재 공학자 윤수는 이 개미들이 왜 행복한지 궁금해졌다.
행복의 비결이 개미가 사는 개미굴에 있다고 생각한 윤수는 개미굴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로봇 개미를 만들었다.
로봇 개미는 센서가 있어 개미굴의 각 층에 먹이가 있는 방을 따라 내려가다 더 이상 내려갈 수 없으면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로 로봇 개미는 개미굴 각 층을 따라 내려오면서 알게 된 각 방에 저장된 먹이 정보를 윤수한테 알려줄 수 있다.
로봇 개미 개발을 완료한 윤수는 개미굴 탐사를 앞두고 로봇 개미를 테스트 해보기 위해 위 그림의 개미굴에 로봇 개미를 투입했다. 로봇 개미의 수는 각 개미굴의 저장소를 모두 확인할 수 있을 만큼 넣는다.
다음은 로봇 개미들이 윤수에게 보내준 정보다.
- KIWI BANANA
- KIWI APPLE
- APPLE APPLE
- APPLE BANANA KIWI
공백을 기준으로 왼쪽부터 순서대로 로봇 개미가 각 층마다 지나온 방에 있는 먹이 이름을 뜻한다.
윤수는 로봇 개미들이 보내준 정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개미굴의 구조를 손으로 그려봤다.
APPLE
--APPLE
--BANANA
----KIWI
KIWI
--APPLE
--BANANA
개미굴의 각 층은 "--" 로 구분을 하였다. 또 같은 층에 여러 개의 방이 있을 때에는 사전 순서가 앞서는 먹이 정보가 먼저 나온다.
우리의 천재 공학자 윤수는 복잡한 개미굴들을 일일이 손으로 그리기 힘들어 우리에게 그려달라고 부탁했다.
한치 앞도 모르는 험한 이세상 그렇지만 오늘도 행복한 개미들!
행복의 비결을 알기 위해 윤수를 도와 개미굴이 어떤 구조인지 확인해보자.
입력
첫 번째 줄은 로봇 개미가 각 층을 따라 내려오면서 알게 된 먹이의 정보 개수 N (1 ≤ N ≤ 1000)개가 주어진다.
두 번째 줄부터 N+1 번째 줄까지, 각 줄의 시작은 로봇 개미 한마리가 보내준 먹이 정보 개수 K (1 ≤ K ≤ 15)가 주어진다.
다음 K개의 입력은 로봇 개미가 왼쪽부터 순서대로 각 층마다 지나온 방에 있는 먹이 정보이며 먹이 이름 길이 t는 1 ≤ t ≤ 15를 만족한다. 먹이 정보는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출력
개미굴의 시각화된 구조를 출력하여라.
개미굴의 각 층을 "--" 로 구분하며, 같은 층에 여러개의 방이 있을 때에는 사전 순서가 앞서는 먹이 정보가 먼저 나온다.
최상위 굴을 포함하여 하나의 굴에서 개미굴이 여러개로 나뉠 때 먹이 종류별로 최대 한 번만 나올 수 있다.
제한
- 1 ≤ N ≤ 1000
문제 풀이
트라이 문제.
트라이는 일종의 트리형태를 가진 자료구조이다. 기본적인 구현은 알파벳 저장을 위해 자식 노드에 해당하는 26칸의 트라이 노드 배열을 가지고, 해당 문자가 문자열의 끝인지를 판단하는 boolean 타입의 변수를 가진다.
이번 문제는 자식 노드로 char 타입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열을 가지도록 구현하면 된다. map<string, trie*>를 자식 노드로 삼아 특정 문자열과 그 문자열을 저장하는 트라이 포인터를 가지도록 하면 된다.
삽입할 때에는 자식 노드들에 해당 문자열이 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새로운 트라이 노드를 만들어 해당 노드의 key값이 되는 문자열과 함께 자식 노드들을 저장하는 map에 저장해준다. 이후 만든/ 혹은 이미 존재하는 트라이 노드의 삽입을 재귀적으로 처리해주면 된다.
출력은 dfs로 출력해주면 된다. 삽입과 마찬가지로 재귀를 통해 자식 노드들을 가리키는 트라이 노드의 함수를 출력해주면 된다.
먹이 정보를 입력할 때 벡터로 변환하여 벡터의 한 원소씩 한 트라이에 넣어주는 방식으로 구현하면 된다.
아래는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map>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struct trie
{
map<string, trie*> childs;
void insert(vector<string> v, int index)
{
map<string, trie*>::iterator it;
if (index >= v.size())
{
return;
}
it = childs.find(v.at(index));
if (it == childs.end())
{
trie* childNode = new trie();
childs.insert({ v.at(index), childNode });
childNode->insert(v, ++index);
}
else
{
it->second->insert(v, ++index);
}
}
void dfs(int depth)
{
map<string, trie*>::iterator it;
for (it = childs.begin(); it != childs.end(); it++)
{
for (int i = 0; i < depth; i++)
{
cout << "--";
}
cout << it->first << "\n";
it->second->dfs(depth+1);
}
}
};
int main()
{
cin.tie(NULL);
ios::sync_with_stdio(false);
trie* root = new trie();
int N, K;
string str;
cin >> N;
for (int i = 0; i < N; i++)
{
cin >> K;
vector<string> food;
for (int j = 0; j < K; j++)
{
cin >> str;
food.push_back(str);
}
root->insert(food, 0);
}
root->dfs(0);
return 0;
}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7527] 배너 걸기 (C++) (0) | 2024.10.24 |
---|---|
[백준 7432] 디스크 트리 (C++) (0) | 2024.10.23 |
[백준 14267] 회사 문화 1 (C++) (0) | 2024.10.21 |
[백준 1059] 좋은 구간 (C++) (0) | 2024.10.20 |
[백준 1516] 게임 개발 (C++) (0) | 2024.10.19 |